데이터베이스 모델링(13)
-
15.관계형데이터베이스설계 - 규칙의 완화하기와 파기하기
1. 언제 규칙을 완화 또는 파기하는가 1) 분석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기 분석 데이터베이스는 시간 의존적인 데이터를 저장 및 추적한다. 분석 데이터베이스는 종종 계산된 필드를 포함한다. 이 경우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가 사용되는 방법 때문에 계산된 필드를 허용한다. 2) 처리 성능 개선하기 - 가치가 있는가 : 규칙을 파기했을 때 얻게 되는 문제점 a) 일관성 없는 데이터 b) 중복 데이터 c) 손상된 데이터 무결성 d) 부정확한 정보 - 먼저 다른 수단들로 성능 개선하기 a) 컴퓨터 하드웨어를 개선하거나 업그레이드한다. b)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를 정밀 조정한다. c)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검토한다. d) 데이터베이스의 구현을 검토한다. e) 데이터베이스로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..
2008.09.13 -
14.관계형데이터베이스설계 - 잘못된설계
1. 평판 파일 설계 모든 것을 하나의 큰 테이블에 넣는 것이다. 비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흔하다. - 다중 부분 필드 - 계산된 필드 - 불필요한 이중 필드 - 진짜 주 키가 없음 - 하나 이상의 주제를 나타낸다. 2. 스프레드시트 설계 1)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 - 이중 필드 - 다중 부분 필드 - 다중 값 필드 - 사용하기 어렵다. 2) 스프레드시트 뷰 사고방식 취급하기 3.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특정 RDBMS를 기초로하는 설계의 문제점 - RDBMS가 할 수 있거나 할 수 없다고 인식하는 것에 기초하여 설계 결정을 내리기 쉽다. - 조직의 정보 요구 사항을 엄격히 따라서 설계하는 데신, RDBMS가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를 걸정하다록 맏깃 수 ..
2008.09.13 -
13.관계형데이터베이스설계 - 데이터 무결성 검토
1. 왜 데이터 무결성을 검토해야 하는가 무결성이 깨지면 일관성 없는 데이터나 부정확한 정보를 걸과를 얻을 수 있다. 작업 중 무엇인가 빠뜨렸을 수 있다. 2. 데이터 무결성 검토 및 정제하기 1) 테이블 수준에서 - 테이블 내에 이중 필드들이 없다. - 테이블 내에 계산된 필드들이 없다. - 테이블 내에 다중 값 필드들이 없다. - 테이블 내에 이중 레코드들이 없다. - 테이블 내의 각 레코드는 주 키 값에 의해 식별된다. - 각 주 키는 주 키의 요소들을 따른다. 2) 필드 수준에서 - 각 필드가 이상적 필드의 요소들을 따르는 것을 확인했다. - 각 필드들 위한 일련의 명세들을 정의했다는 것을 확인했다. 3) 관계 수준에서 - 올바르게 관계를 설정했다. - 적절한 삭제 규칙을 정의했다. - 각 테이블..
2008.09.13 -
12.관계형데이터베이스설계 - 뷰
1. 뷰란 무엇인가? 뷰는 하나이상의 테이블로 이루어진 가상 테이블이다. 뷰를 정의하고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. 1) 여러 테이블들로부터 동시에 온 데이터로 작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. 2) 가장 최근의 정보를 반영한다. 3) 개인 또는 그룹의 특별한 요구에 개인화 시킬 수 있다. 4) 데이터 무결서을 강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. 5) 보안이나 기밀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 2. 뷰의 해부 1) 데이터 뷰 단일 기반 테이블 또는 다중 기반 테이블들로부터 데이터를 검사하고 조작하기위해 사용한다. - 단일 테이블 데이터 뷰 기반 테이블의 모든 필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은 선택된 필드만 사용한다. 수정가능하고 기반 테이블에 적용되지만 필드 명세와 업무 규칙이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수정의 ..
2008.09.13 -
11.관계형데이터베이스설계 - 업무규칙
1. 업무 규칙이란 무엇인가? 업무 규칙은 필드 명세 내의 요소들이나 주어진 관계의 특성들처럼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측면에 어떤 형태의 제약을 부과하는 문장이다. [업무 규칙의 종류] 1) 데이터베이스 지향 데이터베이스 지향 업무 규칙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는 제약 조건을 부과한다. 필드 명세 요소, 관계 특성 또는 이 둘의 조합을 수정하여 주어진 제약 조건을 구현한다. 이 들중 하나에 의해 제약조건을 의미있고 명확하게 설정되면 제약조건을 도출하는 문장은 데이터베이스 지향 업무 규칙이다. 2) 어플리케이션 지향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내에서 설정할 수 없는 제약 조건을 부과한다. 2. 업무 규칙의 범주 1) 필드 특유의 업무 규칙 특정 필드를 위한 필드 명세의 요소들에 제약 ..
2008.09.13 -
10.관계형데이터베이스설계 - 테이블관계
1. 관계는 왜 중요한가 관계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. - 논리적으로 서로 연관된 한 쌍의 테이블들 사이의 연결을 설정한다. - 테이블 구조를 더 정제하고 이중 데이터를 최소화하도록 도와준다. - 여러 테이블들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메커니즘이다. 2. 관계의 종류 1) 일대일 관계 일대일 관계는 보통 부분 집합 테이블을 수반한다. 2) 일대다 관계 데이터베이스 내의 한 쌍으 테이블들 사이에 존재하는 가장 일반적인 관계이다. 데이터 무결성 관점에서 이중 데이터를 제거하고 중복 데이터를 절대적으로 최소화해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. 3) 다대다 관계 다대다 관계의 문제 - 테이블들 중 하나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지루하고 다소 어렵다. - 테이블들 중 하나가 대..
2008.09.13